[스크랩] 열정의 힐러리여사 Living History를 구입해서 읽으려고 했을 때의 동기는 별로 바람직하지 못했음을 고백한다. 신문에 짧게 소개되어지는 책의 소개글에는 사람들의 시선집중을 위해서 특이한 부분을 골라잡는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더 많이 알게 되었다. 책을 읽은 후 작은것이지만 생각을 정리한다는 것이 가끔 아주 .. 한국독서문화교육 2007.07.17
[스크랩] 책에 관한 명언모음 책에 관한 명언 칼라일 결국은 우리들 인간이 지상에서 이루어 놓은 것이나 만들어 낸 것 중에서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하고, 경이로우며 또한 가치 있는 것이 바로 "책이라 불리어지는 것" 이라는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 한국독서문화교육 2007.07.17
샘터사의 궤변 [편집국에서] 샘터사의 궤변 최근 2년간 두 권의 책을 썼다. TV와 휴대폰이 아이들의 성장에 미치는 악영향과 중독 대처방법을 안내한 자녀교육서였다. 평소 자극적인 영상매체가 아이들의 교육에 얼마나 해로운지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지만, 이들 책의 컨셉과 구성은 어디까지나 전문 기획자의.. 한국독서문화교육 2007.01.11
[‘부의 미래’] 시간·공간·지식의 혁명이 한국을 뒤흔든다 [‘부의 미래’] 시간·공간·지식의 혁명이 한국을 뒤흔든다 시간, IT의 초스피드 발전이 ‘부의 원천’… 여러 분야서 시간 못 좇아가는 지체 현상도 공간, 사이버 공간 외에 아리랑 2호 활동, 우주인 선발 등 활동 범위가 우주까지 확대돼 지식, 심층 기반의 핵심… 하루가 다르게 거대하고 복잡해지.. 한국독서문화교육 2007.01.03
주몽의 아들 유리왕에 나오는 무휼왕자(대무신왕)의 이야기 주몽의 아들 유리왕에 나오는 무휼왕자(대무신왕)의 이야기입니다. 11. 떠오르는 태양 서기 13년 유리명왕 32년 겨울, 신나라와 고구려가 맞서고 있는 틈을 타서 부여가 고구려로 쳐 내려왔다. 외적의 침입을 받은 고구려는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고구려의 군신들이 모인 가운데, 패자 마리가 적의 상황.. 한국독서문화교육 2006.11.29
국내 출판사들 日소설 판권경쟁 ‘先인세’ 천정부지 국내 출판사들 日소설 판권경쟁 ‘先인세’ 천정부지 국내에서 일본소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계약금에 해당하는 선인세(advance)가 1~2년 전에 비해 5배 이상 올랐다. 일본 최고의 대중문학상인 나오키상 수상작의 경우 계약금이 종전의 1천만원에서 5천만원까지 올라갔으며 웬만큼 괜찮다 싶은 작품은 .. 한국독서문화교육 2006.11.27
[스크랩] 영어공부에 필수인 참고사이트 영어공부에 필수인 참고사이트 작가이름사전 미국영어와 영국영어의 차이점 만화① ② ③ ④ ⑤ ⑥ 스스로중등영어(국.수.한자) 영어로 우리 문화 소개 영어시험교실 시사용어 마법의 순간영문독해 영어로 읽는 주요 뉴스 뉘앙스 잉글리쉬 정현정 영시모음 영시의 향기 ① ② ③ 영시 읽기 영시 프로.. 한국독서문화교육 2006.10.23
[스크랩] 아나운서들의 번역서에 대해서...어느 번역가가 쓴 글 그 분야의 달인들이 나오는 TV 프로그램이 있다. 볼 때마다 그들의 재빠른 손놀림에 놀라고 그들의 직업 정신에 감탄한다. 소위 말하는 3D 직종에 종사하는 분들이 많이 나오지만,고뇌와 번민에 전 화이트칼라들의 표정과 달리 자신감에 찬 그들의 모습은 마냥 즐거워 보인다. 한 분야에서 오래 일을 하.. 한국독서문화교육 2006.09.28
목적 분명해야 할 아이 책읽기 목적 분명해야 할 아이 책읽기 기사입력 : 2005.12.05 미국의 독서지도전문가이자 교사인 크리스 토바니(Cris Tovani)는 <아이들 인생을 바꾸는 독서법>(리앤북스. 2005)을 통해 ‘목적 없는 독서’의 폐해를 주장했다. ‘읽기’에 대한 흥미만 유발시킬 수 있다면 ‘성공’ 이라고 생각했던 무사안일주의.. 한국독서문화교육 2006.09.25
교회의 속성 교회의 속성 니케야 신조는 "우리는 하나의 거룩한, 보편적, 사도적 교회를 믿는다"고 고백하는데, 이 고백은 교회의 몇 가지 속성들을 잘 표현하고 있다. 그것은 교회가 하나라는 것과 거룩하다는 것과 보편적 혹은 세계적이라는 것과 사도적 교훈의 터 위에 세워져 있다는 것 등이다. 첫째로, 교회는 .. 한국독서문화교육 2006.09.06